사건번호:
91다43220, 91다43237
선고일자:
199205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갑과 을 사이의 매매계약내용에 비추어 을의 갑에 대한 은행 대출금의 월부금 기상환액의 변상의무가 갑의 건물명도의무와 동시이행의 관계에 있다고 봄이 신의와 공평의 관념에 적합하고, 을의 위 변상의무가 원금만에 한정되지 않고 은행대출약정에 따른 이자금액도 당연히 포함된다고 봄이 당사자의 의사표시 해석에 합치된다고 한 사례
갑이 은행으로부터 대출받으면서 그에 대한 월부금 상환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자기 소유의 대지 및 건물에 관하여 위 은행 앞으로 근저당권설정등기를 마쳐 주고 나서, 을에게 위 대지 및 건물을 매도하면서, 을이 그 매매잔대금 중 일부금의 지급에 갈음하여 위 은행 대출금의 월부금 상환채무를 전부 인수하기로 하되, 특별히 위 은행 월부금은 2회분부터 을이 직접 불입하고 갑에 의하여 이미 불입된 원금상환액은 매매잔대금 지급시 갑에게 지급하여 주기로 약정하였으며, 한편 갑이 그 후 을을 대위하여 위 은행 대출금의 2회분부터 19회분까지의 월부금 상환조로 원금과 이자 및 연체료 등을 대체 납부하였다면 갑과 을 사이의 위 대지 및 건물에 관한 위와 같은 매매계약의 약정내용에 비추어 볼 때, 을의 갑에 대한 위 은행 대출금의 월부금 기상환액의 변상의무는 위 매매계약의 잔금지급채무로 보아 갑의 건물명도의무와 서로 동시이행의 관계에 있다고 봄이 신의와 공평의 관념에 적합하다고 풀이되고, 또한 갑이 이와 같이 을을 대위하여 위 은행 대출금의 월부금을 불입함에 따라 위 특약에 기하여 을이 갑에 대하여 부담하게 되는 변상의무는 위 월부금 중 원금만에 한정되지 않고 원래의 은행대출약정에 따른 소정의 이자금액도 당연히 포함되는 것이라고 봄이 당사자의 의사표시 해석에 합치된다고 한 사례.
민법 제2조, 제105조, 제568조
【원고(중간확인피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피고(중간확인원고), 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10.23. 선고 91나8618,8625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본소청구에 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중간확인청구에 관한 피고(중간확인원고)의 상고를 기각한다. 중간확인의 소로 인한 상고비용은 피고(중간확인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피고들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먼저, 원고가 피고들을 상대로 이 사건 대지 및 건물에 관하여 1987.12.15. 매매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구하는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확정판결을 받고, 이에 기하여 1989.11.29. 원고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사실과 피고들이 이 사건 건물을 각 점유하고 있는 사실 등을 확정한 다음, 이에 따라 원고는 위 대지 및 건물의 소유자로 추정되므로 피고들은 위 건물을 점유할 권원이 없는 이상 원고에게 각 그 점유부분을 명도할 의무가 있다고 할 것이라고 판시하는 한편, 나아가 피고들의 각 주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판시하였다. 첫째, 위 소유권이전등기청구소송사건의 확정판결의 증거로 된 증인 소외 1, 소외 2 등의 증언이 허위진술임이 밝혀져 동인 등이 위증의 유죄판결을 받아 확정됨으로써 위 소유권이전등기청구사건의 확정판결은 재심청구에 의하여 취소될 운명에 있고 따라서 이에 터잡은 원고 명의의 위 소유권이전등기도 말소되어야 할 것이므로, 원고가 이 사건 건물의 소유자라는 추정도 번복되어야 한다는 취지의 주장에 대하여는, 위 증인들에 대한 위증의 유죄판결이 확정됨에 따라 피고들이 이미 위 소유권이전등기청구사건의 확정판결에 대한 재심청구의 소를 제기한 사실은 인정되나, 그러한 사실만으로는 위 소유권이전등기청구사건의 확정판결이 당연히 취소되고 그에 터잡은 소유권이전등기의 추정력이 깨어진다고 볼 수 없는 것이므로, 피고들의 위 주장은 이유 없다. 둘째, 이 사건 대지 및 건물에는 피고들이 1987.12.14. 소외 국민은행으로부터 대출받은 금 20,000,000원을 담보하기 위한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있고 위 대출금은 60개월 동안 월부로 분할상환하게 되어 있는데, 원고와 피고들의 위 대지 및 건물에 관한 매매계약 당시 위 은행불입금은 2회분부터 원고가 지급하고 이미 불입된 원금상환액은 매매잔대금 지급시 피고들에게 변상하여 주기로 특약하였음에 불구하고, 피고들이 2회부터 19회분까지 위 은행대출금의 월부금 상환조로 도합 금 9,711,906원을 대체 납부하였으므로 피고들은 위 금원의 변상을 받기 전까지는 이 사건 건물명도청구에 응할 수 없다는 취지의 동시이행의 주장에 대하여는, 피고들이 주장하는 위 특약의 문언 자체에 의하더라도 원고가 위 매매계약 후 피고들이 위 은행에 불입한 월부금 상환액을 피고들에게 변상할 의무가 피고들의 원고에 대한 이 사건 건물명도의무보다 선이행되어야 한다거나 위 명도의무와 동시이행의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없을뿐만 아니라, 더구나 그 거시증거에 의하면 피고들이 위 매매계약의 체결 이후로 위 은행에게 1989.6.분까지의 월부금 상환액으로써 원금 도합 금 5,206,000원을 납부한 바 있으나, 원고는 피고들에 대하여 종전의 위 소유권이전등기청구소송 등과 관련하여 도합 금 5,241,101원의 소송비용 상환채권을 가지고 있고, 원고가 이로써 피고들의 위 은행 월부금대납액 변상채권과 상계한다는 의사표시를 한 사실이 인정되는바, 이에 따라 피고들의 원고에 대한위 은행 대납액 변상채권은 이미 전부 소멸되어 존재하지 아니하는 것이므로 피고들의 위 주장도 이유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2. 그러나 기록에 의하면, 피고들이 1987.12.14. 소외 국민은행으로부터 금 20,000,000원을 대출받으면서 그에 대한 60회분의 월부금 상환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이 사건 대지 및 건물에 관하여 위 은행 앞으로 근저당권설정등기를 마쳐 주고 나서, 그달 15. 원고에게 위 대지 및 건물을 대금 123,500,000원에 매도하면서, 원고가 그 매매잔대금 중 금 20,000,000원의 지급에 갈음하여 위 은행 대출금의 월부금 상환채무를 전부 인수하기로 하되, 특별히 위 은행 월부금은 2회분부터 원고가 직접 불입하고 피고들에 의하여 이미 불입된 원금상환액(1회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임)은 매매잔대금 지급시 피고들에게 지급하여 주기로 약정하였으며, 한편 피고들이 그 후 원고를 대위하여 위 은행 대출금의 2회분부터 19회분까지의 월부금 상환조로 원금 5,206,000원, 이자 3,934,000원, 연체료 571,906원 등 도합 금 9,711,906원을 대체 납부한 것임을 알 수 있는 바, 원고와 피고들 사이의 이 사건 대지 및 건물에 관한 위와 같은 매매계약의 약정내용에 비추어 볼 때,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위 은행 대출금의 월부금 기상환액의 변상의무는 이 사건 매매계약의 잔금지급채무로 보아 피고들의 위 건물명도의무와 서로 동시이행의 관계에 있다고 봄이 신의와 공평의 관념에 적합하다고 풀이되고, 또한 피고들이 위와 같이 원고를 대위하여 위 은행 대출금의 월부금을 불입함에 따라 위 특약에 기하여 원고가 피고들에 대하여 부담하게 되는 변상의무는 위 월부금 중 원금만에 한정되지 않고 원래의 은행대출약정에 따른 소정의 이자금액도 당연히 포함되는 것이라고 봄이 당사자의 의사표시 해석에 합치된다 할 것이다. 따라서 원심이 이와 반대의 견해에서 피고들의 원고에 대한 이 사건 건물명도의무와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위 은행대출금의 월부금 기상환액의 변상의무가 서로 동시이행의 관계에 있지도 아니하고, 또 원고가 피고들에게 변상하여야 할 월부금 기상환액도 원금만으로 한정되는 것임을 전제로 하여 피고들의 동시이행항변을 배척한 조치는 부동산매매계약에 따른 동시이행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고 당사자 사이의 위 매매계약내용의 의사표시 해석을 그르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아니할 수 없으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 있다 할 것이다. 3.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를 판단할 것 없이 원심판결 중 이 사건 본소청구부분에 관한 피고들의 상고를 받아들여 이를 파기하고, 그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며, 피고(중간확인원고)의 중간확인청구에 관한 부분은 상고장이나 상고이유서에 그에 대한 아무런 상고이유의 기재가 없으므로 그 부분 상고를 기각하고, 그로 인한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위 피고(중간확인원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우동(재판장) 김상원 윤영철 박만호
상담사례
세입자 보증금 문제로 8천만 원을 빌려준 집주인이 담보로 받은 2층에 직접 거주하며 이자까지 요구하는 것은 신의성실 원칙에 어긋난다.
상담사례
부동산 매매 시 대출 인수는 채권자 동의 없이 매매 당사자 간 합의만으로도 매수인이 기존 채무자와 함께 채무를 부담하는 병존적 채무인수로 해석되어 매수인이 직접 채무 변제 책임을 질 수 있다.
민사판례
다른 사람의 빚을 대신 갚아준 사람(대위변제자)의 권리와 재판 중 청구 내용 변경 방식에 대한 판결입니다. 특히 여러 부동산이 하나의 빚에 대해 공동담보로 설정된 경우, 그중 하나의 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린 사람이 빚을 대신 갚으면, 원래 빚을 진 사람의 다른 부동산에도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또한, 재판 중 청구 내용 변경은 서면으로 해야 하지만, 상대방이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상담사례
집을 담보로 돈을 빌린 갑씨는 약정 기한(3년)이 지났더라도 돈과 이자를 갚으면 집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민사판례
둘이 함께 전세를 얻었는데, 계약서에는 한 사람 이름만 올리고 보증금도 그 사람이 다 돌려받기로 했다면, 나머지 한 사람은 자기 몫의 보증금을 계약서에 이름이 올라간 사람에게 양도한 것으로 본다는 판례입니다. 또한, 보증금을 돌려줘야 하는 집주인은 세입자에게 줄 돈이 있다면, 보증금에서 그 돈을 빼고 줄 수 있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상담사례
새 집주인에게 월세를 냈더라도, 새 집주인의 재정 상태를 몰랐고 이후 전 집주인에게 전세금 반환을 요구했다면, 전 집주인에게도 전세금을 청구할 수 있다.